본문 바로가기

Web Development/Data Structure 자료구조

[자료구조] Queue 큐

Queue 큐

-선입선출 (FIFO - First In First Out) 구조.

-배열을 사용하거나 연결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.

-선형큐에서는 배열의 뒷쪽은 계속해서 채워지고 배열의 앞은 계속 원소가 빠져서 결론적으로 배열이 계속해서 뒤로 밀려나게 됨. 따라서 큐의 인덱스가 가장 끝에 도달하게 되면 배열이 비어있음에도 큐에 원소를 삽입할 수 없게 됨.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원형큐 사용.

 

원형큐

-나머지 연산을 이용해 큐의 인덱스가 끝에 도달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도록 짬.

https://velog.io/@mcc919/Data-Structure-%EC%9B%90%ED%98%95-%ED%81%90Circular-Queue-%EC%95%8C%EC%95%84%EB%B3%B4%EA%B8%B0

 

[Data Structure] ① 원형 큐(Circular Queue) 알아보기

지난 번 글에서 구현한 동적 배열을 사용한 큐에 단점이 있었다. 자료를 꺼내올 때 모든 데이터를 한 칸씩 앞으로 이동해야 하는 점이었다. 원형 큐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.

velog.io

https://lktprogrammer.tistory.com/59

 

03 원형 큐 (Circular Queue) 자료 구조

원형큐 (Circular Queue) 원형 큐는 선형 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. 앞선 포스팅에서 선형큐의 문제점은 rear이 가르키는 포인터가 배열의 마지막 인덱스를 가르키고 있을 때 앞

lktprogrammer.tistory.com

 

- 큐 잘 정리된 글

https://yoongrammer.tistory.com/46

 

[자료구조] 큐 (Queue)

목차 [자료구조] 큐 (Queue) 큐는 먼저 집어넣은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FIFO (First In First Out) 구조로 저장하는 선형 자료구조입니다. 실제 예로 매표소 대기열에서 먼저 줄을 선 사람이 먼저 나갈 수

yoongrammer.tistory.com